전화번호 | 02-880-6621 |
---|
홈페이지 | http://astro1.snu.ac.kr/home/kor |
---|
내용 | <2022> 크기: 13m Planetarium Software: RSA Cosmos SkyExplorer Projection System: SONY GTZ380
https://youtu.be/mpFQqkBIs0k 관련포스트 관련기사
<1978> 1969년 10월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16인치 반사 망원경과 플라네타륨 용 천체투영기가 일본에서 도입됐다.
그러나 천체투영기는 1975년 이전한 관악 캠퍼스에 투영관 건물을 신축한 1978년 6월에야 비로서 설치할 수 있었다.
천체투영관은 2003년 농업생명과학대학 건물을 신축하면서 철거될 때 까지 '인강과 우주', '우주의 진화', '천문학 및 실습' 등의 교양과목 교육과 천문대 공개 행사에 주요한 몫을 담당해 왔다. 특히 연간 1,500여명에게 천체운행의 신비를 선물함으로써, 서울대의 천체투영관은 사회 환원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봉사 뿐 아니라 천문학에의 우호적인 대중을 확보하는 데 좋은 기여를 했을 것이다.
사진은 철거 직전의 서울대학교 천체투영관의 모습을 찍은 것이다.
이 천체투영관이 철거되기 전까지는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전공수업 과정 중에 천체투영관 프로그램을 만들어 설명하는 과제가 포함되어 있어서 학생들이 최소한 한 번씩은 천체투영기를 다뤄볼 기회가 있었다. 그리고 ‘천문대 공개행사’라는 행사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기도 했다. 만일 지금까지 남아있었다면 우리나라 대학교에 유일하게 설치된 천체투영관으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천체투영관 역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을 텐데 너무나 안타깝다.

|
---|
주소 |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|
---|
|